최신 등록자료

  • [연차휴가ㆍ수당] 출근율 80% 여부에 따른 연차휴가 부여방법

  • [연차휴가ㆍ수당] 출근율이 80% 미만인 경우 연차유급휴가 산정방법

  • [연차휴가ㆍ수당] 연차유급휴가 부여시 휴직 및 휴가 기간 등에 대한 출근율 ...

  • [연장ㆍ야간ㆍ휴일근로] 보상휴가를 사용하지 못한 경우 임금지급 여부

  • [연장ㆍ야간ㆍ휴일근로] 야간근로수당의 통상임금 해당 여부 및 감단직 근로자에 대...

  • [퇴직연금 일반] 임원에서 직원(또는 직원에서 임원)이 된 경우 퇴직연금 처...

  • [퇴직금 지급] 퇴직금에서 복지포인트 초과사용분 공제 가능 여부

노동뉴스

더보기
  • 퇴직금 지급도 IRP로 이전해야

    오는 4월 14일부터는 퇴직금 지급시에도 퇴직연금과 마찬가지로 개인형퇴직연금제도 계정(IRP)으로 이전하는 것이 의무화된다. 다만, 55세 이후에 퇴직한 경우나 퇴직금이 300만원 이하인 경우 등 일부 예외사항에 해...

  • 육아휴직급여, 통상임금 80%로 상향 단일화

  • 11월부터 임금명세서 교부시, 임금(수당)항목별 계산까지 꼼꼼히 기재해야

  • 가족돌봄비용 긴급지원, 1일 5만원 최대 10일간

 

노동부 훈령·예규·고시·지침

더보기
  • 연차유급휴가청구권·수당·근로수당과 관련된 지침 file

  • 평균임금 산정상의 상여금 취급요령 file

  • 퇴직금 중간정산제도 업무처리지침 file

  • 미지급 중간정산(중도인출) 퇴직급여의 소멸시... file

  • 휴업수당제도 해석 기준

  • 뇌혈관 질병 또는 심장 질병 및 근골격계 질병... file

  • 개인형퇴직연금제도로의 이전 예외사유 해당금... file

법원 판례

더보기
  • 외국인 근로자에게도 근로기준법과 최저임금법이 적용된다.

  • 퇴직연금에 대한 압류명령의 효력

  • 해고가 부당하여 효력이 없더라도 근로자는 해고예고수당을 지급받은 수 있으므...

  • 근로자가 연차유급휴가를 사용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청구할 수 있는...

  • 법 위반인 취업규칙 또는 단체협약의 개정은 노동조합의 동의를 얻었더라도 효력...

  • 근로자가 아닌 이사 등에게 지급하는 퇴직연금도 재직 중 직무수행에 대한 대가...

  • 영업 일부 양도에 따라 경영주체가 변경된 것에 불과하다면 근로관계는 계속되는...

노동부 행정해석

더보기
  • 1주간 근로관계가 존속되고 개근하였다면 1주를 초과한 날의 근로가 예정되어 있... updatefile

  • 약정 육아휴직기간 또는 업무외 부상질병 휴직기간이 있는 경우 연차휴가 산정방법 update

  • 연차유급휴가 부여시 휴직 및 휴가 기간 등에 대한 출근율 산정방법 new

  • 출근율이 80% 미만인 경우 연차유급휴가 산정방법 new

  • 출근율 80% 여부에 따른 연차휴가 부여방법 new

  • 보상휴가를 사용하지 못한 경우 임금지급 여부

  • 감시 또는 단속적 근로자가 야간근로수당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

노동용어 사전

더보기
  • 가사사용인

  • 기간제 사용사유 제한

  • 요양신청

  • 산전후휴가

  • 건강진단

  • 정리해고

  •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노동자료실

더보기
  • 2022년 달라지는 제도(전체) file

  • 임금명세서 교부 등 개정법 설명자료(고용노동부) file

  • 무료 회계프로그램 (알찬회계) file

  • 대체공휴일 Q&A (고용노동부) file

  • 2021년 하반기 달라지는 제도(종합) file

  • 소규모사업장을 위한 7가지 노른자 노동법 file

  •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 규정의 주요내용(2021.3) file

노동칼럼

더보기
  • 노조대표자의 ‘고독한’ 결정, 비싼 대가가 따른다

  • 벨기에 대사 부인 갑질 사건, 빗나간 언론보도 초점

  • [이동철의 상담노트] 4·7 재보궐선거, 예견된 청...

  • [이동철의 상담노트] 내 주변의 플랫폼 노동자

  • [책 이야기] '식사에 대한 생각'- 피가 되고 살이 ... file

  • 모욕과 기쁨이 교차하는 일터. 나의 존재를 지키는... file

  • 청년들이 첫직장을 1년7개월만에 때려친 이유 file

노동OK

노동OK :: 대한민국 No1.노동정보 서비스

경기 부천시 계남로 336(중2동 1093) 근로자종합복지관 1층

개인정보처리방침

약관

Contact Us

Copyright© 노동OK All rights reserved

  • 분야별 정보
  • 상담
  • 자료
  • 문서·서식
  • 자동계산
  • 커뮤니티
  • 취업·훈련
  • 도움받는 곳
  • 노동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