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11

연봉총액에 포함된 퇴직금액이 법정 퇴직금에 미달하는 경우

회사의 열악한 재무구조를 참작 직원들을 배려하여 일찍부터 연봉제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사무실에서 회계와 사무를 보고 있는 여직원 2명과 설계를 담당하는 남직원 3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생산직입니다,

법정근로시간은 주당 40시간이라고 하지만 금형쪽은 평균적으로 주당 62시간, 사출쪽은 52시간을 일하고있습니다. 그것도 사출쪽은 2교대입니다. 연차휴가 이런 것은 없고 여름휴가를 2박 3일간 준다는 규정밖에 없어요.

급여는 이런 모든 수당을 다 포함해서 1년에 얼마 이런 식으로 정하고 계약서를 씁니다

예를 들면 모두 다 합해서 (연장근로,정근수당,야간수당등 포함) 한 달에 300만원 주면(연봉 3600만원) 이 금액에는 회사규정에 상여금 200% 퇴직금 100%니까 이게 모두 포함되어 있는 금액인 겁니다.

연봉이 3600만원이라고면 실제 급여는 3600 / 15  = 월240이고, 년간 약정급여 240 * 12월 = 2,880만원에 상여 480 퇴직 240 이런식입니다. 휴일에 일을하면 휴일근로수당이라해서 주는데 {240 / 30 / 8 * 일한시간}으로 해서 주는데, 적으로는 원래 임금의 150%를 줘야하는것으로 압니다.

이러한 경우에 법적인 문제가 있는것은 아닌지, 아무리 연봉제라고 해서 연장근로수당, 야간수당등이 포함되었다고는 하지만 법정근로시간보다 일한것이나 2교대로 인한 야간에 일한것이나 수당을 지급해야 하는건 아닌지 여쭤보고싶어요(근로계약서에 시간이 명시되어 있기는 합니다만, 아무리 노사간의 합의가 있었다고는하지만 상위법을 위배할수는 엄따고 알고있습니다)

만약 제가 이회사를 그만두면서 아무리 근로계약서에 포함해서 썼다하지만은 법은 그런게 아니니  그동안 일한 연장근로수당,야간근로수당,정근수당을 청구하면 받을수 있겠는지요?

답변

포괄임금계약이 인정되기 위한 조건

본래대로라면 기본급 또는 통상임금에 연장근로시간,휴일근로시간수를 곱하고 이것의 150%를 지급하는 것이 근로기준법상의 연장근로,휴일근로수당의 의미입니다.

다만, 예외적으로 노사간의 별도의 합의를 통해 1월당 연장근로시간 또는 휴일근로시간수를 정하여 매월 고정적으로 연장근로 여부 등과 관계없이 지급하는 이른바, 포괄임금계약을 체결하고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근로자 당사자에게 현격하게 불이익한 것이 아닌 것이라면 인정될 수 있는데, 각종 법원의 각종 판례이고 노동부의 행정해석은 근무 성격, 업무의 특성상 근로시간 산정이 어려운 경우로서, 포괄임금에 포함된 법정수당이 근로기준법이 정한 기준에 따라 산정된 법정수당에 미달하지 않아야 한다는 기본 입장을 견지하고 있습니다. (아래 관련 정보 참조)

연봉계약 중 퇴직금

귀하가 상담글에서 밝힌 연봉게약의 내용 중 퇴직금 관련 부분은 다소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연봉 3600만원을 정하였다고 하지만, 사실상 퇴직금 예상액 240만원을 제하면 실 연봉총액은 3360만원입니다.

이러한 경우, 퇴직금액은 연봉총액 3,360만원에 상응하는 금액이어야 합당하기 때문입니다. 귀하의 실제 연봉총액에 상응하는 1일 평균임금은 {(280만원*3개월)+(연간상여금총액 480만원*3/12)}/90일=106,666원으로 볼 수 있고 따라서 1년간의 1년간의 퇴직금은 106,666원*30일*1년=320만원 수준이 되어야 합니다.

결국 연봉계약을 통해 1년 퇴직금액을 240만원으로 정한 부분은 무효이며(근로기준법 제15조) 따라서 법정 퇴직금 계산방식에 의해 산출된 퇴직금과의 차액에 해당하는 80만원의 퇴직금 차액은 별도로 청구가능합니다.


관련정보 (포괄임금계약 관련)


관련정보(연봉제외 퇴직금 관련)


관련법률

근로기준법 제15조(이 법을 위반한 근로계약)

① 이 법에서 정하는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근로조건을 정한 근로계약은 그 부분에 한정하여 무효로 한다. <개정 2020. 5. 26.>
② 제1항에 따라 무효로 된 부분은 이 법에서 정한 기준에 따른다.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임금 출퇴근보조비,차량유지비,유류대 임금 여부와 삭감
여성 출산휴가 사용시 연차휴가 출근율
기타 임금체불로 사무실 임대료 가압류하려고 합니다.
해고 등 1년을 15일 앞두고 갑작스런 해고
해고 등 노조활동에 열성인 정규직 근로자를 계약기간 만료라고 해고했어요
근로시간 교육, 훈련 시간을 근로시간으로 볼 수 있나요? file
기타 퇴직을 했는데, 자격증을 돌려주지 않고 퇴직처리도 하지 않습니다.
여성 정규직과 계약직의 임신중 정기검진 휴가 부여의 차별 1
여성 산후1년미만자 (출산후여성에게 시간외근무수당을 하향지급하는 경우) 1
기타 회사가 폐업하고 사장이 잠적한 경우, 실업급여 신청은?
근로계약 사업양도시 고용승계되는 근로자가 승계를 거부할 수 있는지요
» 연봉제 연봉총액에 포함된 퇴직금액이 법정퇴직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근로계약 회사가 정규직계약을 계약직계약으로 변경하려 할때
해고 등 사장 기분에 의한 갑작스런 해고 (해고수당,퇴직금,실업급여)
근로기준 대기발령에 따른 임금저하와 퇴직금,연차수당 등
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이 주당 연장근로시간에 포함되는지 여부
근로시간 지각한 근로자가 연장근로를 하는 경우, 연장근로수당이 지급됩니까?
연봉제 연봉제의 경우, 임금에서 퇴직금을 공제할 수 있나요?
근로기준 회사가 갑자기 무급휴가를 명령하였습니다.
임금 재직중 받지 못한 상여금을 청구할 수 있나요?
기타 사업주 소재불명으로 노동부 임금체불 조사가 지연되고 있습니다.
여성 산후1년미만 여성근로자의 연장,야간근로 제한 1
근로계약 동의서에 근로자들이 연명한 취업규칙 개정의 효력
근로계약 종교문제의 부당해고 성립여부 및 동종업계 이직금지 각서의 법적효력
근로기준 취업규칙을 불이익변경하는 경우, 노사협의회 근로자위원이 동의권이 있나요?
해고 등 학원강사의 갑작스러운 해고, 해고수당 받을 수 있나?
근로기준 파트타이머, 단시간근로자의 연장근로에 대한 가산임금은?
임금 3년이 지나도록 받지 못한 임금
임금 부모님이 사망하셔서, 경조사로 인해 출근하지 못한 기간의 임금은?
여성 파견직 계약기간 만료시에 출산휴가에 들어가있다면 어떻게... 1
임금 매월 지급되는 상여금의 통상임금 포함 여부
근로계약 계열회사간 전적,전출시 포괄적 사전 동의의 효력
근로시간 민방위, 예비군훈련이 끝나고 회사에 돌아가야 하나요? (공의 직무)
임금 매월 정액으로 지급되는 연장수당의 통상임금 포함여부
해고 등 해고를 목적으로 지방으로 전출시키는 경우 부당해고인지요?
여성 출산으로 인한 권고사직과 출산휴가 도중 사직처리
연봉제 취업규칙에서 정해진 연봉제도를 지금보다 불이익하게 변경하는 경우
연봉제 연봉계약시 퇴직금을 포함했는데, 1년이내 퇴직한다면, 반납해야 하나요?
근로기준 주휴수당 기준은 기본급입니까? 통상임금입니까?
여성 출산휴가 와 육아휴직을 사용한 후의 퇴직금은? 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