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3월 11일 입사하여 2016년 3월 5일~6월 4일까지 출산휴가 후 2016년 6월 5일~2017년 6월 4일까지 육아휴직을 하였고
2017년 6월 5일 다시 복귀를 하였습니다. 저희 회사는 월~금요일 주 5일 근무입니다.
복귀후 연차를 몇일이나 사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다음 연차를 몇일로 책정해야 하는지 문의드립니다~
성별 | 여성 |
---|---|
지역 | 전북 |
회사의 산업 / 업종 | 교육서비스업 |
상시근로자수 | 5~19인 |
본인의 직무 / 직종 | 사무직 |
노동조합 | 없음 |
2014년 3월 11일 입사하여 2016년 3월 5일~6월 4일까지 출산휴가 후 2016년 6월 5일~2017년 6월 4일까지 육아휴직을 하였고
2017년 6월 5일 다시 복귀를 하였습니다. 저희 회사는 월~금요일 주 5일 근무입니다.
복귀후 연차를 몇일이나 사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다음 연차를 몇일로 책정해야 하는지 문의드립니다~
번호 | 상담분야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01320 | 휴일·휴가 | 연차문의 1 | 삐버 | 2018.11.27 | 139 |
101319 | 해고·징계 | 이력서사항 거짓기재 1 | 용빵 | 2018.11.27 | 116 |
101318 | 근로계약 | 단속적근로자승인.. 2 | 용역보다못한무기계약직 | 2018.11.27 | 124 |
101317 | 휴일·휴가 | 연차 문의 1 | inseed | 2018.11.27 | 209 |
101316 | 휴일·휴가 | 미사용 연차보상비 산입 기간 및 계산법 질의 1 | limpshark | 2018.11.27 | 265 |
101315 | 임금·퇴직금 | 무단 결근시, 월급을 삭감한다고 하는데 맞는건지. 1 | 박모세 | 2018.11.27 | 181 |
» | 휴일·휴가 | 연차와관련하여 질문합니다~ 1 | 8219 | 2018.11.27 | 49 |
101313 | 임금·퇴직금 | 4조3교대 야간근로수당 1 | 송어 | 2018.11.27 | 198 |
101312 | 임금·퇴직금 | 퇴직금 연봉포함 관련 1 | 퇴직금달라고 | 2018.11.27 | 220 |
101311 | 임금·퇴직금 | 주52시간 도입으로 월급 삭감 후 소급 1 | 상담2222 | 2018.11.27 | 114 |
101310 | 휴일·휴가 | 퇴사 후 미사용 연차휴가 청구 가능합니까? 1 | 라쿠 | 2018.11.27 | 105 |
101309 | 휴일·휴가 | 병가사용후 휴직 시 무급처리 가능한지요? 1 | 다소니 | 2018.11.27 | 222 |
101308 | 임금·퇴직금 | 수습기간동안 일방적으로 퇴사한 직원에 대한 급여지급 문의 1 | 비오나 | 2018.11.27 | 198 |
101307 | 임금·퇴직금 | 본사대기시 월급 차등지급에 관해 물어보고 싶습니다. 1 | 이동장 | 2018.11.27 | 31 |
101306 | 해고·징계 | 해고 및 실업수당 수급 요건 등에 관해서 문의 드립니다. 1 | 대전 | 2018.11.27 | 63 |
101305 | 기타 | 명의도용을 당하였습니다. 1 | 여뀌 | 2018.11.27 | 63 |
101304 | 산업재해 | 2년이 지났는데 산재 신청과 보상 가능할까요? 1 | 꿈꾸는맘 | 2018.11.27 | 99 |
101303 | 임금·퇴직금 | 호봉제 회사에서 호봉 정정으로 과거 임금을 소급청구할경우 시효 기산점 1 | karan2 | 2018.11.26 | 121 |
101302 | 기타 | 노동부 출석요구서 3 | 기본좀알자 | 2018.11.26 | 128 |
101301 | 휴일·휴가 | 퇴직시 연차수당 받을 수 있을까요? 3 | 라쿠 | 2018.11.26 | 176 |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답변이 늦어져 죄송합니다.
2016.3.11.~2017.3.10. 사이 연차휴가 산정기간 중 해당 근로자가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으로 실질적으로 1일도 출근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복귀하는 시점인 2017.6.6.에는 연차휴가가 실질적으로 1일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2017.3.11.~2018.3.10.사이 연차휴가 산정기간 1년에 대해서는 육아휴직기간인 2017.3.11.~6.5 사이 105일을 제외한 260일에 대해 2018.3.11.에 11.6일(260일/365일×16일)의 연차휴가가 발생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저희 노동ok 페이스북을 방문해 보세요~
https://www.facebook.com/laborok?ref=bookmarks 노동관련 각종 법령과 정책에 관한 정보, 노동현안에 대한 소식들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