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5월23일 ~ 2018년10월26일 1년5개월 근무 후 퇴직하게 되었습니다.
2018/10/1 ~ 2018/10/26 : 1,898,927
2018/09/1 ~ 2018/09/30 : 2,915,955
2018/08/1 ~ 2018/08/31 : 2,355,819
2018/07/27 ~ 2018/07/31 : 367,245
퇴직금을 3,515,305 받습니다.
1년 5개월 근무자는 연차수당을 따로 지급을 받을 수 없는건가요?
연차수당은 퇴직전전년도 미근무자로 연차휴가 발생한게 없어서 퇴직금으로 받을 수 없다는데
그럼 연차수당을 못받는건가요? 퇴직할 때 남은 연차수당 받는게 맞는건가 싶어 문의 드립니다.
이 글과 관련된 글
- - 최저임금과 퇴직금
- - 연차수당 지급에 대해 궁금합니다
- - 퇴직금 받을 수 있을까요
- - 퇴직금 체불로 진정 신청 후 출석 요구 연락을 받았습니다.
- - 퇴직금 지급 및 근로계약서 갱신 문의 *1
- - 주휴수당과 퇴직금, 휴게시간 수당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 - 퇴직금이 이상해요 *1
- - 실업급여 문의합니다. *1
- - 잔여 연차수당 관련 문의 *3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1>2017.5.23.~2018.5.22. 사이 연처휴가산정기간 1년에 대해 80% 이상 출근한 경우 2018.5.23.에 연차휴가 15일이 발생됩니다. 퇴직일인 2018.10.26.까지 발생한 15일의 연차휴가중 미사용연차휴가에 대해서는 1일 통상임금으로 퇴사시 현금보상 받으실 수 있습니다.
2>2018.5.23.~2018.10.26.사이 기간은 연차휴가 산정기간 1년을 재직중인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연차휴가가 발생되지 않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저희 노동ok 페이스북을 방문해 보세요~ https://www.facebook.com/laborok?ref=bookmarks 노동관련 각종 법령과 정책에 관한 정보, 노동현안에 대한 소식들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