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30

근로자의 잘못을 이유로 한 해고의 정당성

개인적인 사정으로 회사에 연락을 하지 않고 3일동안 결근하였습니다. 회사규정에 무단결근 3일은 해고라며 회사를 그만 둘 것을 요구합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답변

회사 취업규칙에 무단결근 3일이 해고사유로 되어있으면 원칙적으로 이를 무효라 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객관적으로 인정될만한 결근사유가 있거나 무단 결근 3일이상을 한 다른 근로자들과는 달리 한사람만 해고한 것은 징계권을 남용한 것을 뿐만아니라 형평에 원칙에 어긋난다고 할 것입니다.

근로자의 귀책사유로 인한 해고인 경우에는 정당한 해고로 인정됩니다. 그러나, 근로기준법에 근로자의 귀책사유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가 규정되어있지 않아 많은 논란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에 규정된 사항이면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게 불합리한 사유가 아니고 사회통념상 사유로 인정할 만한 것이라면 해고의 정당성이 인정된다고 보는 것이 통설입니다.

구체적으로 근로자의 무단결근이나 빈발한 시말서 제출, 상습적인 도박등으로 인한 근무태만 행위, 업무와 직간접턱으로 관련된 형사사건으로 유죄판결을 받은 행위, 등등은 근로자의 잘못으로 회사에서 계속 근로시키기 어렵다고 판단될 때는 징계사유가 된다고 봅니다.

'무단결근 3일일 때는 해고한다' 는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의 규정은 근로기준법상 정당한 해고의 사유라고 인정되고 있습니다 (대법 91321. 90다15631등 다수 판례).

그러나 무단결근의 시기 ,상황, 원인, 결과 등 구체적 사정이 결근할 수 밖에 없는 경우에는 사안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징계해야 하며 결근의 합리적인 이유가 있을 시에도 해고하는 것은 징계권 남용으로 무효라 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구속 또는 교통사고로 입원하여 미처 회사에 연락을 못했다든가 회사의 부당한 전직명령에 거부하여 비롯된 결근, 또한 근로자의 귀책사유가 있더라도 해고보다 낮은 징계를 함이 더 타당하다고 인정 될 때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징계처분을 선택하는 재량권은 징계권자의 마음대로 하는 것이 아니고 징계사유와 징계처분과의 사이에 사회통념상 상당하다고 인정되는 균형의 존재가 요구되고 경미한 징계사유에 대하여 가혹한 제재를 부과하는 것은 징계권의 남용으로서 무효라고 보는 것이 통설입니다.(대법 91.10.25, 90다 20428)


관련법원 판례

  • 단한번의 도박행위를 한 사유로 해고함은 재량적인 한계를 일탈한 해고 (대법원 85.3.26, 84누711)
  • 영업소 판매원 등이 거액의 횡령행위를 한 경우 이에 대한 지휘감독상의 책임을 물어서 영업소장을 징계해고한 것은 정당 (대법원 89.1.17 87다카1999)
  • 무단결근 7일이 해고사유라면 격일제 근무시 7일동안 결근했다하더라도 실제 근무해야 할 날은 4일인 경우 무단결근 7일에 해당되지 않으므로 해고사유에 해당되지 않음 (대법원 89.3.14, 87누980)
  • 3일이상 무단결근을 징계해고사유로 규정하고 있는 취첩규칙이 위법은 아님 (대법원 90.4.27. 89다카5451)
  • 단협상 월중 1일 결근은 생리휴가로 대체한다고 규정되었어도 무단결근 3일 후에 생리휴가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면 3일 모두 결근으로 처리해도 무방 (대법원 913.27. 90다15631)
  • 보험회사가 계약실적이 불량한 사원을 징계할 수 있다는 규정은 정당함 (대법원 9L3.27 90다카24420)
  • 상당한 이유 없이 기능직 사원을 수시로 전직처분을 하고 다른 사원과 달리 연장근로를 시키지 않아 수입이 감소하자 이에 시정을 요구하며 작업을 거부한 것으로 해고한 것은 징계권 남용 (대법원 91.5.28, 90다8046)
  • 화약류를 취급하는 공장의 금연구역에서 근로자가 흡연한 것을 사규에 징계사유로 규정함은 정당함(대법원 91.8.27, 91다20418)
  • 상사가 먼저 폭행하고 피해도 근로자가 더 크게 입었는데도 근로자를 징계해고한 것은 징계권 남용에 해당(대법원 92.2.11. 91다25109)
  • 취업규칙에 연차휴가 청구에 대한 규정이 없을 때 근로자가 전화로 연차휴가를 실시한 것으로 처리해달라고 전화한 후 결근했다면 적법한 휴가권을 사용한 것이라 볼 수 있다(대법원 92.4.10. 92누404호)
  • 업무수행상의 과오로 공제조합의 운영에 지장을 초래한 것을 이유로 직위해제함은 정당한 조치(대법원 93.2.9. 92다35417)
  • 우발적 행동으로 보여지는 경미한 징계사유에 대한 가혹한 해고조치는 징계권 남용(대법원 93.3.12 92누12933)

관련정보률


관련법률

근로기준법 제23조(해고 등의 제한)

①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懲罰)(이하 “부당해고등”이라 한다)을 하지 못한다.
② 사용자는 근로자가 업무상 부상 또는 질병의 요양을 위하여 휴업한 기간과 그 후 30일 동안 또는 산전(産前)ㆍ산후(産後)의 여성이 이 법에 따라 휴업한 기간과 그 후 30일 동안은 해고하지 못한다. 다만, 사용자가 제84조에 따라 일시보상을 하였을 경우 또는 사업을 계속할 수 없게 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임금 복직하고 8개월 뒤에 퇴사할 때, 평균임금 계산시 상여금 산입방법
근로기준 휴가와 휴업의 차이와 연차휴가에 미치는 영향
근로계약 과다한 인력소개요금과 아르바이트의 주휴일과 주휴수당 여부
근로계약 임금체불 때문에 퇴직했는데, 저보고 손해배상 책임을 지라고 합니다.
기타 정년퇴직 규정을 신설하려고 합니다.
임금 체불임금을 입증할 증거가 없어요
여성 재계약 시점과 출산휴가 신청기간이 맞물렸을 경우... 1
임금 정기 상여금을 일방적으로 지급하지 않는다면?
근로계약 개인의 연봉수준을 동료에게 누설하면 해고가 정당합니까?
해고 등 계약직의 계약기간 만료 후 재계약을 거부하는 것이 해고인가?
근로계약 한 달 근무하지 않으면 임금을 지급하지 않는다 약정의 효력
임금 당직근무시 시간외수당을 청구할 수 있나요?
해고 등 수습사원은 마음대로 해고할 수 있나요?...수습끝나는 날 해고통보
근로기준 시간제 근로자의 퇴직금과 해고수당
여성 퇴직금 중간정산과 생리휴가
근로계약 연장수당을 임금총액에 포함시킨 포괄임금계약의 효력은?
근로기준 일하는 중에 사고 발생했는데, 회사에서 손해금을 월급에서 공제하겠다고 합니다.
기타 인터넷으로 임금체불 진정서 제출하기
임금 퇴직금 중간정산 이후 연차휴가, 상여금, 승진을 위한 계속근로기간은?
여성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회사가 허락하지 않습니다.
근로기준 건강검진 비용의 부담 주체
임금 체불임금 신고하는 것이 부담스럽습니다.
근로기준 아파트관리사무소 위탁관리에서 자치관리로 변경시 고용승계는?
기타 회사가 아무런 재산이 없습니다. (재산명시제도와 재산조회제도의 활용)
해고 등 해고와 권고사직은 무엇이 다른가요?
연봉제 퇴직금을 연봉에 포함하고 12로 분할하여 지급, 그 효력은?
임금 시간당 아르바이트생입니다(최저임금법 위반 사업장입니다. )
해고 등 무조건 일괄사직서 제출 후 선별수리한다는데..
임금 하청업자가 임금을 미지불하고 잠적하였다면?
근로시간 야간근로수당을 받을수 있는지요?
근로계약 허위 구인광고를 당했어요....대처방법 file
임금 퇴직자의 연차휴가 정산
근로기준 카페 알바인데, 최저임금법 위반 사업장입니다!
여성 권고사직 당할 임산부 근로자입니다.
근로계약 교육비용 각서로 퇴직을 제한하는 경우
여성 출산휴가후 복직시 부당한 부서이동 어떻게 하나요?
연봉제 계약시 담당자의 착오가 있다며 연봉을 삭감할 수 있나요?
해고 등 회사에서 "나가는 쪽으로 방향을 잡으라"라고 했는데....해고인가요?
근로기준 연소자(18세미만자)의 근로기준과 조건은 어떠하나요?
근로계약 동종업계로의 취업금지 계약서의 효력 (영업비밀의 보호)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