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17

아르바이트인원중에 1년넘은 분이 있어서 퇴직금 계산을 하고자 합니다.

2009.9.1입사 / 2011.3.31퇴사

문제는 퇴직금 계산시 퇴직 직전 3개월 기준으로 하는데.

이분의 경우는 1.1~1.31 19일 출근 920,000원 / 2.1 ~ 2.28 10일 출근 400,000원 / 3.1 ~3.31 17일 출근 680,000원 // 총 2백만원

사실 그전에는 출근을 20일 가량 출근을 잘 하셨는데. 막상 퇴사직전 3개월에는 위와같이 많이 빠졌습니다.

이럴 경우에 퇴직금을 어떻게 산정해야되는지요??

시급 5천원, 하루 8시간 근무, 주 40시간. 평균임금이 작을텐데. 평균임금이 작으면 통상임금으로 계산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그럼 통상임금은 얼마로 계산해야되는지..

답변

소개하신 사례의 경우, 1일 평균임금이 1일 통상임금에 미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퇴직금 산정은 근로기준법 제2조 제2항의 정함에 따라 1일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하여야 합니다.

관련 정보

문제는 해당근로자의 통상임금이 얼마인가 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귀하의 상담글에서 소개하신 사례의 근로자는 근로기준법 제2조 제8호에서 말하는 단시간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먼저 살펴보아야 합니다.

즉 귀하가 소개하신 사례의 근로자가

  1. 근로계약으로 1일 8시간 1주 40시간을 근무하기로 정한 경우
    • 단시간근로자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통상근로자의 통상임금 계산방법(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 관련)에 따라 통상임금을 계산하면 되고,
  2. 근로계약으로 1주 40시간 미만을 근무하기로 정한 경우라면
    • 단시간근로자에 해당하므로 단시간근로자의 통상임금 계산방법(근로기준법 시행령 제9조 관련)에 따라 통상임금을 계산하면 됩니다.

관련법률

근로기준법 제2조 (정의)

①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8. “소정(所定)근로시간”이란 제50조, 제69조 본문 또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39조제1항에 따른 근로시간의 범위에서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에 정한 근로시간을 말한다.
9. “단시간근로자”란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그 사업장에서 같은 종류의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의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에 비하여 짧은 근로자를 말한다.


1. 통상근로자인 경우, 통상임금 산정방법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 관련)

해당근로자의 기준임금이 시간급이고, 시간당 5,000원을 지급키로 하며 1일 8시간이 소정근로시간이므로, 1일 통상임금은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 제3항에 따라 [5,000원 * 8시간 = 40,000원]입니다.

관련법률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 (통상임금)

①법과 이 영에서 “통상임금”이란 근로자에게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소정(所定)근로 또는 총 근로에 대하여 지급하기로 정한 시간급 금액, 일급 금액, 주급 금액, 월급 금액 또는 도급 금액을 말한다.
②제1항에 따른 통상임금을 시간급 금액으로 산정할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방법에 따라 산정된 금액으로 한다. <개정 2018. 6. 29.>
1. 시간급 금액으로 정한 임금은 그 금액
2. 일급 금액으로 정한 임금은 그 금액을 1일의 소정근로시간 수로 나눈 금액
3. 주급 금액으로 정한 임금은 그 금액을 1주의 통상임금 산정 기준시간 수(1주의 소정근로시간과 소정근로시간 외에 유급으로 처리되는 시간을 합산한 시간)로 나눈 금액
4. 월급 금액으로 정한 임금은 그 금액을 월의 통상임금 산정 기준시간 수(1주의 통상임금 산정 기준시간 수에 1년 동안의 평균 주의 수를 곱한 시간을 12로 나눈 시간)로 나눈 금액
5. 일ㆍ주ㆍ월 외의 일정한 기간으로 정한 임금은 제2호부터 제4호까지의 규정에 준하여 산정된 금액
6. 도급 금액으로 정한 임금은 그 임금 산정 기간에서 도급제에 따라 계산된 임금의 총액을 해당 임금 산정 기간(임금 마감일이 있는 경우에는 임금 마감 기간을 말한다)의 총 근로 시간 수로 나눈 금액
7. 근로자가 받는 임금이 제1호부터 제6호까지의 규정에서 정한 둘 이상의 임금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호부터 제6호까지의 규정에 따라 각각 산정된 금액을 합산한 금액
③제1항에 따른 통상임금을 일급 금액으로 산정할 때에는 제2항에 따른 시간급 금액에 1일의 소정근로시간 수를 곱하여 계산한다.


2. 단시간근로자인 경우, 통상임금 산정방법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9조 관련)

해당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이 5,000원이고 1일 8시간, 1주 24시간을 근무하는 하는 경우라면, 통상임금(일급)은 아래와 같습니다.

  • 시간당 통상임금 : 5,000원
  • 1일 소정근로시간 수 : (단시간근로자의 4주*24시간) / (통상근로자의 4주*5일)  = 96시간 / 20일 = 4.8시간
  • 1일 통상임금 : 5,000원 * 4.8시간 = 24,000원

관련법률

근로기준법 제18조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

①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은 그 사업장의 같은 종류의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의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산정한 비율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라 근로조건을 결정할 때에 기준이 되는 사항이나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③ 4주 동안(4주 미만으로 근로하는 경우에는 그 기간)을 평균하여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근로자에 대하여는 제55조와 제60조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9조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 기준 등)

① 법 제18조제2항에 따른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을 결정할 때에 기준이 되는 사항이나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별표2와 같다.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9조 제1항의 [별표2]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 결정기준 등에 과난 사항

2. 임금의 계산
  가. 단시간근로자의 임금산정 단위는 시간급을 원칙으로 하며, 시간급 임금을 일급 통상임금으로 산정할 경우에는 나목에 따른 1일 소정근로시간 수에 시간급 임금을 곱하여 산정한다.
  나. 단시간근로자의 1일 소정근로시간 수는 4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을 그 기간의 통상 근로자의 총 소정근로일 수로 나눈 시간 수로 한다.


관련 정보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근로계약 통상근로에서 교대제근로로 전환하는 경우 취업규칙을 개정해야 하는지요?
근로계약 다른 회사에 취업하지 않겠다는 취업금지 서약서는 효력이 있습니까?
해고 등 이메일로 해고 통지를 받았습니다. (해고 서면통지의 효력)
여성 임산부의 요구가 없는 타부서로의 전환배치, 업무 발령은 정당한지요? 1
근로시간 휴일근무중 8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도 연장근로시간의 제한(1주 12시간)을 받는지요? 1
해고 등 계약기간을 '현장업무 종료시까지'로 정한 경우, 정당한 계약해지 사유가 되는지요?
근로계약 월급을 타인에게 양도할 수 있는지
근로시간 시급제 근로자의 출장 이동시간에 급여를 지급해야 하는지요?
근로기준 회사의 경영상 이유에 의한 휴업과 연차휴가의 사용
근로계약 취업규칙 불이익변경이 무효인 경우, 개정 취업규칙의 적용대상은?
임금 명절상여금 지급제한 규정의 효력(지급일 현재 퇴직자에 대한 상여금 지급 여부)
임금 사업주 변경시 임금체불 형사책임은 누구?
임금 개인연금 보조금,핸드폰 보조금이 퇴직금 계산에 포함되나요?
해고 등 징계 준비를 위해 대기발령을 하는 것이 정당한지요?
근로계약 해외 파견근무 후 퇴직시, 항공료 체재비를 반환해야 하나요?
임금 급여계산시 일할계산 방법
임금 인사이동,직무변경과 급여 변동
근로계약 감시단속적 근로자에 대한 근로시간등의 적용예외 승인을 취소받을 수 있을까요? 1
해고 등 직급정년제는 인정될 수 있나요?
근로계약 실적 성과급제 설정(또는 성과급 체계의 변경 확대)은 근로자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지?
해고 등 보직해임하고 일정기간 경과 후 해고하는 것이 정당한지요?
해고 등 사직서 제출하고 철회를 요청했는데 회사가 허락하지 않아요(사직서 철회의 효력)
근로계약 근로계약이 만료되었는데, 계약만료 기간 이후에도 계속하여 회사에 출근할 의무가 있나요?
» 임금 단시간근로자(아르바이트)와 통상근로자의 통상임금 산정방법
근로계약 계약기간 만료전 퇴직시 해외 주재비 반환 여부
근로시간 연장근로수당 청구시 연장근로 여부를 입증할 수 있는 자료는 무엇인지요?
임금 감시단속직 3교대 근로자 급여 산출과 연차수당 계산 방법
근로계약 전자근로계약서 사용시 주의사항
근로시간 보궐선거 투표시간 유급처리 여부
임금 체불임금 지연이자의 근로소득 여부
기타 일용근로자의 퇴직금 발생 여부
임금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수당은?
임금 통상임금에 대한 노동부와 법원 차이(상여금 근속수당 식대)
여성 계약직의 출산휴가 육아휴직 기간의 계약기간 포함 여부
근로계약 정년 60세 의무화법 내용
근로기준 정년 60세 의무 위반시 대응은?
근로기준 근로자의 동의 없이 사무실 내부에 cctv 설치 하였을 경우
근로시간 1주 최대 근로 가능 시간은?
임금 상여금이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기 위한 상여금 규정 변경
기타 개인 질병 부상으로 퇴사하여 실업급여를 받는 방법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