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12

취업규칙 변경이 무효인 경우, 개정 취업규칙의 적용대상은?

유류비 명목으로 매월 일정 금액을 급여로 받아온 경우입니다. (급여 명세서에 나오며 급여에 포함되어 통장 입금)

팀장으로 있던 부서가 없어지고 다른 부서의 차장으로 발령이 났습니다. 그렇지만 유류비는 팀장분으로 계속 받아왔습니다. 팀장 유류비 지원이 차장 유류비 지원보다 큽니다.

* 2년전  사규 내용 : 기존에 팀장으로 유류비를 지원받은 인원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지원한다는 문구있음

그후 다시 개정된 사규에서는 위의 문구가 빠져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그간 지급되었던 팀장급 유류비가 행정상의 실수이니 더 이상 지급할 수 없으며 차장급으로 삭감하겠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현금으로 지급받은 유류비는 임금이기 때문에 제가 받던 대로 계속 지급되는 것이 옳지 않나 생각합니다.  제가 옳은 것인지요? 

만약 제가 옳다면,  유류비 삭감분은 부당 임금체불에 해당하는 것인가요?.

답변

회사의 사규(취업규칙)에서 정한 근로조건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2가지의 원칙이 지켜져야 합니다. (근로기준법 제94조)

  1. 불이익하지 않는 변경인 경우에는 근로자 과반수의 의견을 들을 것.
  2. 불이익한 변경인 경우에는 근로자가 과반수(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의 동의를 얻을 것.

즉, 근로자에게 불리한 취업규칙의 변경임에도 불구하고 근로자 과반수 또는 노동조합의 동의없이 이루어진 경우라면 그 취업규칙 개정의 효력이 없습니다.

근로자 과반수 또는 노동조합의 동의없이 회사가 일방적으로 변경된 취업규칙은 개정일 이후 신규입사자에 대해서만 그 효력이 인정되며, 개정일 현재 재직자에 대해서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노동부 행정해석과 대법원 판결의 일관된 입장입니다.

불이익하게 변경된 취업규칙의 효력 

  • 불이익한 취업규칙 변경은 근로자의 집단적 의사결정방법에 의한 동의를 얻어야 하며, 동의를 얻지 못한 경우에는 기득이익이 침해되는 기존의 근로자에 대하여는 변경된 취업규칙이 적용되지 않음.( 2000.09.09, 근기 68207-2750 )

근로자 동의 없이 변경한 취업규칙도 신규 입사자에 대하여는 효력이 있다.

  • 근로기준법 제94조에서 사용자는 취업규칙의 작성 또는 변경에 관하여 당해 사업장 근로자의 과반수(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의 의견을 들어야 하고, 근로자에게 불이익하게 변경하는 경우에는 그 동의를 얻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적법한 동의 절차 없이 불이익하게 변경도니 취업규칙은 원칙적으로 효력이 없으나(불이익하게 변경된 부분에 한함) 신규 입사자에 대해서는 효력이 있습니다 (대판 전원 합의체 91다45165, 1992.12.22 참고). 따라서 사용자가 취업규칙에서 정한 근로조건을 근로자에게 불이익하게 변경함에 있어서 근로자의 동의를 얻지 않은 경우에 그 변경으로 기득 이익이 침해되는 기존의 근로자에 대하여는 변경의 효력이 미치지 않으나, 변경된 취업규칙에 따른 근로 조건을 수용하고 새롭게 근로 계약을 체결하여 근로관계를 갖게 된 근로자에 대하여는 변경된 취업규칙이 적용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 2007.08.01, 근로기준팀-5727 )

근로자의 동의없이 불리하게 변경된 취업규칙은 기존 근로자에게는 무효이지만 변경후 새로 입사한 근로자에는 변경된 취업규칙이 적용되어야 한다 

  • 취업규칙의 작성ㆍ변경에 관한 권한은 원칙적으로 사용자에게 있으므로 사용자는 그 의사에 따라 취업규칙을 작성ㆍ변경할 수 있으나, 다만 근로기준법 제95조의 규정에 의하여 노동조합 또는 근로자 과반수의 의견을 들어야 하고, 특히 근로자에게 불이익하게 변경하는 경우에는 그 동의를 얻어야 하는 제약을 받는 바, 기존의 근로조건을 얻어야 하는 제약을 받는 바, 기존의 근로조건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는 경우에 필요한 근로자의 동의는 근로자의 집단적 의사결정방법에 의한 동의임을 요하고 이러한 동의를 얻지 못한 취업규칙의 변경은 효력이 없다.
  • 사용자가 취업규칙에서 정한 근로조건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함에 있어서 근로자의 동의를 얻지 않은 경우에 그 변경으로 기득 이익이 침해되는 기존의 근로자에 대한 관계에서는 그 변경의 효력이 미치지 않게 되어 종전 취업규칙의 효력이 그대로 유지되지만 그 변경후에 변경된 취업규칙에 따른 근로조건을 수용하고 근로관계를 갖게 된 근로자에 대한 관계에서는 당연히 변경된 취업규칙이 적용되어야 하고 기득이익의 침해라는 효력 배제 사유가 없는 변경후의 취업 근로자에 대해서까지 그 변경의 효력을 부인하여 종전 취업규칙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볼 근거가 없다. ( 1992.12.22, 대법 91다 45165 )

귀하의 경우, 회사에 노동조합이 있다면 노동조합과 회사간에 취업규칙에서의 유류비 지급건과 관련한 취업규칙 개정 동의가 있었는지를 먼저 살펴보시고, 만약 그러한 동의가 없었던 상태에서 회사가 일방적으로 변경한 것이라면 이는 효력이 없으므로, 개정일 이후 신규입사자에 대해서만 적용하고, 개정일 현재 재직중인 근로자에 대해서는 기존내용을 적용해 줄 것을 당당히 요구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관련법률

근로기준법 제94조(규칙의 작성, 변경 절차)

① 사용자는 취업규칙의 작성 또는 변경에 관하여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다만, 취업규칙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는 경우에는 그 동의를 받아야 한다.
② 사용자는 제93조에 따라 취업규칙을 신고할 때에는 제1항의 의견을 적은 서면을 첨부하여야 한다.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근로계약 통상근로에서 교대제근로로 전환하는 경우 취업규칙을 개정해야 하는지요?
근로계약 다른 회사에 취업하지 않겠다는 취업금지 서약서는 효력이 있습니까?
해고 등 이메일로 해고 통지를 받았습니다. (해고 서면통지의 효력)
여성 임산부의 요구가 없는 타부서로의 전환배치, 업무 발령은 정당한지요? 1
근로시간 휴일근무중 8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도 연장근로시간의 제한(1주 12시간)을 받는지요? 1
해고 등 계약기간을 '현장업무 종료시까지'로 정한 경우, 정당한 계약해지 사유가 되는지요?
근로계약 월급을 타인에게 양도할 수 있는지
근로시간 시급제 근로자의 출장 이동시간에 급여를 지급해야 하는지요?
근로기준 회사의 경영상 이유에 의한 휴업과 연차휴가의 사용
» 근로계약 취업규칙 불이익변경이 무효인 경우, 개정 취업규칙의 적용대상은?
임금 명절상여금 지급제한 규정의 효력(지급일 현재 퇴직자에 대한 상여금 지급 여부)
임금 사업주 변경시 임금체불 형사책임은 누구?
임금 개인연금 보조금,핸드폰 보조금이 퇴직금 계산에 포함되나요?
해고 등 징계 준비를 위해 대기발령을 하는 것이 정당한지요?
근로계약 해외 파견근무 후 퇴직시, 항공료 체재비를 반환해야 하나요?
임금 급여계산시 일할계산 방법
임금 인사이동,직무변경과 급여 변동
근로계약 감시단속적 근로자에 대한 근로시간등의 적용예외 승인을 취소받을 수 있을까요? 1
해고 등 직급정년제는 인정될 수 있나요?
근로계약 실적 성과급제 설정(또는 성과급 체계의 변경 확대)은 근로자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지?
해고 등 보직해임하고 일정기간 경과 후 해고하는 것이 정당한지요?
해고 등 사직서 제출하고 철회를 요청했는데 회사가 허락하지 않아요(사직서 철회의 효력)
근로계약 근로계약이 만료되었는데, 계약만료 기간 이후에도 계속하여 회사에 출근할 의무가 있나요?
임금 단시간근로자(아르바이트)와 통상근로자의 통상임금 산정방법
근로계약 계약기간 만료전 퇴직시 해외 주재비 반환 여부
근로시간 연장근로수당 청구시 연장근로 여부를 입증할 수 있는 자료는 무엇인지요?
임금 감시단속직 3교대 근로자 급여 산출과 연차수당 계산 방법
근로계약 전자근로계약서 사용시 주의사항
근로시간 보궐선거 투표시간 유급처리 여부
임금 체불임금 지연이자의 근로소득 여부
기타 일용근로자의 퇴직금 발생 여부
임금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수당은?
임금 통상임금에 대한 노동부와 법원 차이(상여금 근속수당 식대)
여성 계약직의 출산휴가 육아휴직 기간의 계약기간 포함 여부
근로계약 정년 60세 의무화법 내용
근로기준 정년 60세 의무 위반시 대응은?
근로기준 근로자의 동의 없이 사무실 내부에 cctv 설치 하였을 경우
근로시간 1주 최대 근로 가능 시간은?
임금 상여금이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기 위한 상여금 규정 변경
기타 개인 질병 부상으로 퇴사하여 실업급여를 받는 방법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