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 1,286개를 찾았습니다

  • 출산육아기 고용안정 지원금 고시
    출산육아기 고용안정 지원금 고시 고용노동부고시 제2016-70호 2016. 12. 30. 출산육아기 고용안정 지원금액 고시(고용노동부 고시 제2015-27호, 2015.7.1. 일부개정)는 폐지한다. 부칙 제1조(시행일) 이 고시는 2017...
    노동OK | 2006-08-16 18:31 | 조회 수 10524
  • 가산임금
    가산임금 가산임금이란 근로자가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한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를 한 경우 통상임금에 가산율을 곱한 금액을 추가로 지급해야 하는 임금을 말한다. 가산수당 또는 할증임금이라고도 한다. 이 ...
    노동OK | 2006-09-21 14:16 | 조회 수 15210 | 추천 수 1
  • 가산휴가
    가산휴가 근로기준법은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연차휴가를 주는데(근로기준법 제60조제1항), 이를 통상 '기본연차휴가'라 부른다. 이와 별도로 3년이상 계속근로한 근로자에게는 기본...
    노동OK | 2006-09-21 14:15 | 조회 수 11422
  • 산전후휴가
    산전후휴가 산전후휴가는 임신 중인 여성노동자에게 임시직, 계약직, 파견직 등 근로계약의 형태와 관계없이 임신·출산 등으로 인한 약해진 체력을 회복하고 모성을 보호하기 위해 90일(한 번에 둘 이상 자녀...
    노동OK | 2006-09-21 10:00 | 조회 수 4790
  • 생리휴가
    생리휴가 생리휴가는 여성노동자가 생리기간 중 무리하게 일을 함으로써 건강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고 모성 보호를 위해 월 1일의 휴가를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생리휴가는 5인 이상의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여성노동...
    노동OK | 2006-09-21 09:58 | 조회 수 5000
  • 선택적 보상휴가
    선택적 보상휴가제 선택적 보상휴가제도는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에 대하여 지급되는 임금 대신에 휴가를 부여할 수 있는 제도이다. 선택적보상휴가제의 도입요건은 사용자와 근로자 대표 또는 근로자과 반수이...
    노동OK | 2006-09-21 09:55 | 조회 수 9348
  • 연차휴가, 연차유급휴가
    연차휴가, 연차유급휴가 연차휴가는 근로자가 1년간의 소정 근로일에 80%이상 출근한 경우에 일정기간 근로의무를 면제함으로써 심신의 피로를 회복하여 건강을 유지하고 근로자가 여가를 선용하여 사회적 문화적 시...
    노동OK | 2006-09-21 09:25 | 조회 수 5471
  • 출산휴가
    출산휴가 임신 중의 여성에게 출산 전과 출산 후를 계속하여 주어지는 90일의 보호휴가. 한 번에 둘(쌍둥이) 이상 자녀를 임신한 경우에는 120일이다. 출산전후휴가, 산전후휴가와 같은 말. 관련 정보 산전후휴가
    노동OK | 2006-09-21 00:06 | 조회 수 5336
  • 일부의 노동자에게마나 불리한 임금체계의 변경은 불이익 변경... 동의를 얻어야
    일부 근로자에게는 불리하고 일부근로자에게는 유리한 임금체제 변경은 전체적으로 보아 불이익변경에 해당된다 ( 2002.04.24, 근기 68207-1760 ) 질의 1. 당사의 연월차휴가제도 활용은 당사 취업규칙 제33조(월차유...
    노동OK | 2006-07-17 01:28 | 조회 수 13546
  • 연ㆍ월차휴가를 근로자의 편의를 위해 미리 가불형식으로 부여할 수 있다.
    연ㆍ월차휴가를 근로자의 편의를 위해 미리 가불형식으로 부여할 수 있다 (1980.10.23, 법무 811-27576) 회시 답변 요지 연ㆍ월차유급휴가제도는 근로자의 피로를 회복시켜 노동력의 유지배양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노동OK | 2006-03-17 10:21 | 조회 수 12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