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일ㆍ휴가ㆍ휴업 관련 노동부 행정해석 모음


보상휴가제에 따른 보상휴가를 사용하지 못하면 임금을 지급해야 하는지요?

노사간 협의간에 연장근무에 대하여 휴가보상제를 실시할때 휴가로만 보상한다고 합의하였을 경우 몇가지 궁금한 사항이 있습니다.

1. 근로자가 휴가를 사용하지 못하였을 경우(자의,타의) 사용자는 급여로 보상하지 않아도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지요?
2. 이때 생성된 휴가는 몇년간 유효한지요?

3. 이것도 노사합의에 의해 당해 회계연도(1.1.~12.31.)로 한정이 가능합니까?
4. 연장근로 8시간당 휴일1일을 부여하고자하는데 가능합니까? (연장근로1시간당 1.5시간을 부여하는데 이에따르면 약5.3시간의 연장근무시 휴일1일이되는데...)

답변

선택적 보상휴가제도 실시에 관한 세부사항은 법의 원칙을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면 노사간에 서면합의를 통해 자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습니다.

보상휴가의 세부사항은 노사간 서면합의 사항

즉 임금청구권과 휴가청구권의 선택 여부에 대해서도 휴가청구권과 임금청구권을 근로자가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할 것인지 아니면 임금청구권은 배제하고 휴가청구권만 인정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노사간 서면합의할 사항입니다.

만약 임금청구권은 배제하고 휴가청구권만을 인정하기로 서면합의 하였다면 회사는 근로자의 개별 임금청구에 대해 임금을 지급하지 않고 휴가를 사용하라 주문할 수 있고, 회사가 이때 임금을 지급하지 않는다고 하여 임금체불(근로기준법 제56조에 의한 연장,휴일근로수당의 미지급)에 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보상휴가제를 실시해도 미사용한 휴가는 임금으로 보상해야

다만, 노사간의 서면합의로 임금청구권은 배제하고 휴가청구권만을 부여하기로 한 상태에서 특정근로자가 이에 반하여 휴가를 자의든 타의든 사용하지 않았다면 그에 대한 임금이 지급되어야 함은 당연합니다.

즉 근로기준법 제61조에 따른 연차휴가 사용촉진과 같이 휴가사용을 권장,촉진한 것이 아니라 선택적 보상휴가제를 실시한 것만으로는 임금지급 의무가 면제되는 것은 아닙니다. 미사용휴가에 대한 임금지급 의무 면제는 적법한 연차휴가 사용촉진의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보상휴가 단위기간, 적치기간 등도 노사간 서면합의로

선택적보상휴가의 사용기간에 대해서는 이를 매달마다 사용토록 할 것인지, 아니면 1년단위로 적치하여 사용토록 할것인지 등의 다양한 방법이 강구될 수 있는데, 노사간의 서면합의를 통해 정한 것이라면 어떠한 방법이든 관계는 없습니다. 아래의 노동부 행정해석을 참조바랍니다.

1년간의 연장근로 등을 다음년도에 보상휴가로 사용하고, 미사용시 그 다음연도에 수당으로 지급하는 것은 위법하지 않다

근로기준법 제55조의2(현행 제57조)에 의한 보상휴가의 대상이 되는 연장,야간,휴일근로의 범위와 보상휴가를 부여하는 기간 등에 대하여도 노사가 서면합의로 정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회사와 근로자대표간의 서면합의를 통해 1년간의 연장,휴일,야간근로시간을 계산하여 다음년도에 1년간 휴가를 사용하게 하고, 미사용한 휴가에 대하여 그 다음년도 첫번째 달의 임금정기지급일에 금전으로 보상하기로 합의한다 하더라도 이를 반드시 위법하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임 (근로기준과-779, 2005.2.14)

보상휴가는 가산임금이 반영되어야

선택적 보상휴가제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연장,야간,휴일 근로에 대한 임금과 이에 갈음하여 부여하는 휴가 사이에는 동등한 가치가 있어야 합니다.

선택적 보상휴가제도를 통해 부여되는 휴가에는 근로기준법 제56조에 의한 가산임금까지 감안되어야 합니다. 즉, 연장근로를 2시간 한 경우 가산임금을 포함하면 총 3시간분의 임금이 지급되어야 하므로 3시간의 휴가가 발생합니다. 같은 방식으로 6시간의 연장근로가 있는 경우에는 9시간의 휴가가 발생합니다.

다만, 휴가를 시간단위로 부여할지 아니면 이를 적치하여 1일단위(8시간)로 부여할지는 노사간 서면합의로 정할 사항입니다. 그래서 6시간 연장근로가 있는 경우 9시간의 보상휴가시간이 발생하는데 이를 분할하여 8시간분의 보상휴가시간에 대해서는 1일의 휴가로 사용토록 하고 짜투리 1시간의 보상휴가시간은 적치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가능하기 때문에 굳이 1일(8시간)의 보상휴가를 부여하기 위해 연장근로시간을 5.3시간으로 맞출 필요는 없습니다.


관련 정보


관련법률

근로기준법 제57조(보상 휴가제)

사용자는 근로자대표와의 서면 합의에 따라 제51조의3, 제52조제2항제2호 및 제56조에 따른 연장근로ㆍ야간근로 및 휴일근로 등에 대하여 임금을 지급하는 것을 갈음하여 휴가를 줄 수 있다. <개정 2021. 1. 5.>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연차휴가 1년미만 근무자는 회계일 기준으로 연차휴가 촉진을 할 수 있는지?
연차휴가 1년 미만 계약직도 연차휴가 사용촉진을 할 수 있나요?
연차휴가 만 1년(365일) 근무 후 퇴직시 연차휴가 발생 여부
연차휴가 1년 미만 재직 노동자, 1년간 80% 미만 출근자 연차휴가 촉진 신설
휴일 법정휴일 대체공휴일과 휴일대체 file
연차휴가 연차휴가를 회계연도 기준 부여 방법 file
연차휴가 입사 이후 2년간 연차휴가는 최대 26일로 확대 (2018년 법개정)
연차휴가 육아휴직기간도 연차휴가 부여시 출근한 것으로 간주
휴일 근로자의 날 임금 계산과 대체휴무 적용 여부
연차휴가 입사 1년 미만자 퇴직시 연차수당 지급여부
연차휴가 연차휴가 보상을 제한할 수 있는지요?(연차휴가 사용촉진제도)
기타휴가 애경사휴가 기간중에 휴일이 있는 경우 휴가종료일은? file
휴업 정전으로 인하여 근무를 못한 경우 급여를 지급해야 합니까?
연차휴가 단시간 근로자의 연차휴가 수당이 궁금합니다
연차휴가 연차수당은 언제 지급되어야 합니까?
연차휴가 해외근무기간, 해외연수기간이 있는 경우 연차휴가 발생 여부와 산정방법
연차휴가 회사가 연차휴가를 강제 사용하라며, 미사용시에는 연차수당을 지급하지 않겠다고 합니다. file
휴업 회사사정으로 휴무,휴업했을시에도 주휴일을 유급처리 해야 하나요?
연차휴가 퇴직하는 해의 1년미만의 기간에 대해서는 연차휴가(연차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연차휴가 연차휴가를 양도하여 직원들간의 휴가나누기가 가능한지요?
연차휴가 연차휴가를 근로일에 사용토록 하는 개별적 합의가 유효한지요? file
연차휴가 단체협약과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연차휴가 기준이 각각 다르다면?
기타휴가 여름휴가, 하계휴가를 연차휴가로 사용할 수 있나요? (여름휴가와 관련된 쟁점)
휴일 주2일 근무하는 근로자에게도 유급 주휴일을 부여해야 하나요?
휴직 병가휴직중에도 유급휴일이 부여되는지요?
연차휴가 회계일로 계산한 연차휴가가 입사일 기준으로 계산한 연차휴가 보다 많은 경우
휴직 무급 휴직명령의 정당성
연차휴가 연차휴가를 앞당겨 사용할 수 있나요? (연차휴가의 가불사용)
기타휴가 생리휴가는 어떻게? (유급 → 무급으로)
기타휴가 연장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대신 휴가를 주는 보상휴가
휴일 감시 단속적근로자가 근로자의날에 근무한 경우, 휴일근로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까?
휴일 주중 결근자가 주휴일에 근무한 경우, 휴일근로수당이 발생하나요?
휴업 회사가 어렵다고 휴업을 하였습니다 (휴업수당)
휴일 개근하였지만 퇴직하는 경우에도 주휴수당과 연차수당을 지급해야 하는지요?
연차휴가 연차휴가 사용촉진 조치 이후에 휴직, 징계로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못하면 연차수당은?
연차휴가 해외 파견근무중인 근로자의 연차휴가 부여를 위한 출근율 산정방법
연차휴가 주40시간제에서 1년 근무후 퇴직하는 경우, 연차수당을 지급해야 하나요?
연차휴가 육아휴직이 있는 경우 연차휴가일수의 계산방법
휴일 각종 선거일의 휴일여부 및 유급,무급 여부
연차휴가 출산휴가,육아휴직이 있는 경우 연차휴가일수는? (출근율 처리방법)
기타휴가 월중 입사자에게도 연차휴가를 부여해야 하는지 (매월1일부터 말일까지 출근율 관리하는 경우)
휴직 개인질병으로 급히 입원했더라도,사후에 결근 또는 휴직승인을 받아야 하는지요?
휴일 해외출장 중 휴일근무를 하게 되면 휴일근로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연차휴가 육아휴직이 있는 경우 연차계산과 소숫점 미만의 연차휴가에 대한 처리방법
휴일 주중 결근자의 유급휴일(설날)과 주휴일(일요일)인 중복(휴일의 중복)
연차휴가 정직기간이 있는 경우 연차휴가 부여를 위한 출근율 계산방법
연차휴가 24시간 격일제 근무자가 근무일에 휴가를 사용하면 며칠 휴가사용으로 인정되나요?
연차휴가 군복무기간에 대한 연차휴가 처리는 어떻게 합니까?
연차휴가 연차휴가의 사용 소멸시효는 언제인가요?
연차휴가 연차휴가 사용촉진을 일부 근로자에게만 실시할 수 있는지요?
휴일 휴일을 다른 근무일로 대체하는 경우 근로자 동의가 필요없나요?
기타휴가 무급휴무일(토요일)과 유급휴가가 중복되는 경우
» 기타휴가 보상휴가제에 따른 보상휴가를 사용하지 못하면 임금을 지급해야 하는지요?
연차휴가 퇴직과 동시에 발생하는 연차휴가와 수당 (최근 대법원 판례)
휴업 휴업시 주휴일의 발생여부 (경영상 휴업시 일요일 주휴수당 지급여부)
기타휴가 경조휴가를 이월해서 사용할 수 있나요? (경조휴가의 사용기한과 소멸)
연차휴가 용역업체, 파견업체 근로자의 연차휴가는 누가 부여해야 하나요?
연차휴가 작업량이 없는 날을 회사가 일방적으로 연차휴가로 갈음할 수 있나요?
휴일 평일에 쉬고 휴일에 근무하는 '휴일 사전대체'는 인정되는지요?
연차휴가 연차휴가청구권의 소멸 시기 (연차휴가사용 촉진제도의 적용)
연차휴가 노조 전임자에 대한 연차휴가 적용여부
연차휴가 토요일에 연차휴가를 사용하면 반차가 되나요? (연차휴가의 반차사용)
연차휴가 산재기간과 출산휴가 기간 동안의 연차발생 여부
기타휴가 생리휴가 무급화 문제
연차휴가 연차수당 산정을 위한 통상임금은 어느시기의 임금을 기준으로 하는지?
연차휴가 소정근로일수가 현저히 적은 사람도 연차휴가를 지급해야 하나요?
연차휴가 출산휴가자 육아휴직자의 연차휴가 계산 (출산휴가+육아휴직자의 출근율)
휴직 최대 휴직기간의 범위? (개인사정으로 인한 사고의 경우 병가기간)
연차휴가 연차수당은 어느 때의 임금으로 계산하나요?
연차휴가 징계기간에 대한 연차휴가를 위한 출근율 산정 방법
연차휴가 퇴사전에 연차휴가를 사용하는 것이 정당한지요?
연차휴가 산재 요양기간중의 연차휴가 발생과 복직후 퇴직금
연차휴가 법이하의 조건을 정한 연차휴가의 효력은?
휴일 주중 중간입사자의 주휴일, 월중 중간입사자의 연차휴가 부여기준
휴일 1주 40시간을 일해야만 주휴일과 주차수당이 발생한다는데, 맞나요?
연차휴가 연차수당을 포함하는 근로계약을 체결(연차수당을 월급 또는 연봉에 포함)할 수 있나요?
연차휴가 1일 4시간 연차휴가 사용이 가능한지요? (반차휴가)
연차휴가 회사가 연차휴가의 사용을 인정하지 않는데, 무단결근인지요?
연차휴가 퇴직과 동시에 발생한 연차휴가와 연차수당의 처리
연차휴가 연차수당을 통상임금의 1.5배로 정한 경우
휴직 출근율 계산시 개인 질병에 따른 개인휴직시 병가기간의 처리
연차휴가 연차수당의 상한은 최고 25일로 제한되나요? (연차휴가의 상한선)
연차휴가 연차휴가를 전부를 사용하도록 회사가 강제한다면?
휴직 회사가 개인질병,부상에 따른 병가휴직을 허락하지 않아요
연차휴가 월중입사자의 1년미만 기간중의 연차휴가 부여 기준
연차휴가 연차휴가 사용을 권장하면 연차수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되는지?
휴업 무급휴가 · 무급휴업이 가능합니까?
연차휴가 출근율 산정을 위한 기준은? (연차휴가, 주휴일 관련)
휴일 국경일 기타 공휴일은 유급인가요? 무급인가요? file
연차휴가 연차휴가와 휴가수당 반납, 포기 동의서의 효력은?
연차휴가 중간입사자의 연차휴가일수 산정 방법 (회계일 연차휴가 계산)
연차휴가 회사가 맘대로 연차휴가를 근무일에 사용토록 할 수 있는지?
휴일 법정공휴일의 휴일여부는? file
연차휴가 연차휴가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연차휴가의 청구)
연차휴가 연차휴가제도와 연차수당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